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볼린저밴드 투자기법과 설정

볼린저밴드(Bollinger Band) 보는법(원리)

 

주가는 일반적으로 이동평균선을 중심으로 일정한 범위 내에서 움직인다는 전제하에 볼린저밴드 보조지표가 만들어졌다고 할 수 있습니다. 즉, 볼린저밴드는 중간의 중심선과 상한선, 하한선이라는 3개의 선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볼린저밴드 보조지표

 

통상적으로 주가의 95% 이상은 볼린저밴드의 상한선과 하한선 사이에서 움직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주가 또는 지수의 움직임이 클 때에는 밴드의 폭이 확장되는 것을 알 수 있고, 움직임이 적어지는 보합 국면에는 밴드의 폰이 좁아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볼린저밴드 매매법

 

  볼린저 밴드의 상단은 보통 저항권으로, 하단은 지지권으로 작용합니다. 주가의 움직임이 현저하게 작아지면서 밴드 폭이 줄어드는 보합권에  머물다가 밴드의 상단 또는 하단을 뚫으면서 밴드의 폭이 넓어지게 된다면 향 후 주가의 추세는 밴드를 뚫은 방향으로 전환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지게 됩니다.  이때의 발생하는 주가의 움직임도 급격하게 발생하게 됩니다.

 

이처럼 횡보 후 상승 또는 하락 추세가 형성되면 그 중간선은 지지와 저항의 역할을 하게 됩니다. 즉, 상승추세 또는 하락 추세가 형성되었을 때의 볼린저밴드 중간선은 지지 또는 저항선 역할을 하는 것입니다.

 

볼린저밴드의 상단을 뚫고 주가가 계속 올라간다면 그 주가의 힘은 세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상승선 이탈 후에 다시 안으로 진입하게 된다면 단기적으로 매도를 고려해 볼 수 있겠습니다. 반대로 볼린저밴드의  하한선을 이탈한 후 다시 안으로 재진입하게 된다면 단기 매수 신호로 볼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볼린저밴드를 이용할 경우에는 밴드의 수축과 확장을 유의 깊게 살펴보아야 합니다.  또한 추세선이 형성된 가운데의 볼린저밴드 중심선 진행방향도 잘 보아야 합니다.

 

 

볼린저밴드 설정

 

1) 키움증권 기준으로 볼린저밴드를 설정하려면 주식차트 화면에 마우스 오른쪽 버튼 클릭 -> 지표 추가 -> 'bollinger band' 검색 후 적용하면 차트에 볼린저밴드가 형성됩니다.

 

볼린저밴드 설정

 

2) 세부적으로 설정하려면 형성된 볼린저밴드를 더블클릭하다 보면 세부적인 지표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는 수식, 지표 조건 설정, 라인 설정, 기준선 설정 등을 할 수 있습니다.

 

 

 

 

 

LIST